유류
구분 | 발생원 | 지천 | 본류 |
---|---|---|---|
폐유,벙커유 등 | 오일매트(흡착포, 흡착붐) 흡착제(볏짚, 톱밥등) |
오일펜스 오일매트 유회수기 |
오일펜스 오일매트 유회수기 |
유출유 차단 및 회수
흡착제를 이용한 기름회수
- 흡착포: 폴리프로필렌 화이버등 인공섬유의 재질이 가장 널리 쓰임
- 흡착붐: 오염물질의 차단 및 흡착 기능
- 기타: 톱밥, 왕겨, 볏짚 등
회수장치를 이용한 기름 회수
- (흡인방식) 흡입펌프, 흡입 탱크로리 등
- (흡착·점착방식) 벨트형, 디스크형, 브러쉬형 등
화학적 처리·회수
- 유겔화제·유고형화제: 기름의 화학적 성질을 이용 겔화·고형화상태로 전환
- 유처리제: 기름을 분산, 자연분해 되도록 함 ※ 내수면 사용 제한
유 흡착제 선택기준

- 흡수 및 흡착률이 높아야 한다.
- 기름 흡착 후 회수가 쉬어야 한다.
- 인체나 어패류에 독성이 없어야 한다.
- 회수 후 폐기 처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 장기간 물에 뜰 수 있는 재질(기름이나 물 흡수)이어야 한다.
- 회수가 곤란한 재질은 친환경적이고 미생물 분해 가능하여야 한다.
- 흡착제는 유류 위에 정확히 살포(유류와 이격 시 흡수 못함)
- 유막이 얇으면 흡수율 저하(최소한 유층 약0.1mm이상)
방제둑

- 소하천 유류유출 사고 시 유출유 확산방지를 위해 유류 차단벽 (흙 등을 이용) 설치 포집
오일휀스 (붐 전장 방법)
-
유도 전장법
-
폐쇄 전장법
출처 : 한국환경공단 수질오염방제정보시스템
유해물
구분 | 발생원 | 지천 | 본류 |
---|---|---|---|
시안·페놀 | 화학.산화.흡착처리, 이온교환처리 |
화학처리, 산화처리 | 희석 |
산, 알칼리 | 중화처리, 화학처리 | 중화처리, 화학처리 | 중화처리, 희석 |
중금속 | 응집침전.흡착처리 이온교환처리, 회수 |
응집침전, 흡착처리 | 희석 |
농약 | 화학.응집침전.흡착처리 | 화학.응집침전.흡착처리 | 희석 |
유해물질 유출사고 안전조치 요령
- 1. 사고현장 접근시는 풍상방향에서 진입
사고현장을 기준으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풍상이라 한다. 화재나 유해물질사고에 있어서는 풍하 방향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가장 위험하다.
- 2. 안전거리 확보
위험지역에 접근하지 말고 현장에서 이격(離隔)시켜 충분한 안전지역을 확보한다. 이때,장비를 활용한 공간을 확보한다.
- 3. 사고와 관련된 위험성 확인
현장의 표지판,라벨,서류(운송서류 등),관계자 등이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에 기초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고 판단하여 안전조치를 취한다.
- 4. 현장상황의 판단
화재가 발생하고 유해물질이 유출/누출되어 확산되고 있는가?
- 5. 현장 진입 여부의 결정
인명과 재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대원 또한 희생자와 같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보호장비를 갖추었을 경우에만 진입한다.
- 6. 적절한 대응활동
희생자는 가능한 신속하게 구조하고 필요한 경우 대피시킨다.
- 7. 기타 준수사항
유출된 물질을 밟거나 만지지 않는다. 또, 유해물질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라도 그 연기, 증기 등을 흡입하지 않는다.
초기 대응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조치한다.
유해물질의 특성이 파악되었다면 현장 상황에 맞게 적용한다.
누가/무엇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가?(사람,재산,환경 등)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대피가 필요한가?/제방을 쌓아야 하는가?/어떤 지원(인력·장비)이 필요하며 현장투입이 가능한가?
현장 상황을 계속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한다.
대응활동의 핵심은 구조대원 등을 포함한 현장의 인원을 보호하는 것
냄새 없는 가스도 위험할 수 있다. 냄새가 없다고 해서 가스나 증기가 무해하다고 생각하지 말라.
빈용기를 다룰 때에는 잔여 유해물질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용기가 정화될 때까지 충분히 주의하라
물리적 처리방법의 종류
제방 쌓기(Diking) | 우회(Diversion) |
---|---|
![]() |
![]() |
유입로 차단(Inlet Blockage) | 막기(packing) |
![]() |
![]() |
화학적 처리방법의 종류
흡수-흡착(Adsorption) | 중화반응(Diversion) |
---|---|
![]() |
|
분산(Inlet Blockage) | 응집(packing) |
![]() |
![]() |
출처 : 한국환경공단 수질오염방제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