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광역시 -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

검색
상단 검색창

검색창 닫기
모바일메뉴 열기 전체메뉴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질 측정기준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질 측정기준에 대한 항모 , 최대치기준치, 측정종목 안내 표
항목 최대 기준치 측정목적
화학적산소 요구량 (COD) 40 이하 (Chemical Oxygen Demand) 물이 오염될수록 유기물이 많으므로 산화분해에 필요한 산소량이 증가함. 오염도 측정을 위해 산화제로 정화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
총질소 (T-N) 20 이하 (Total Nitrogen)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의 지표중의 하나로서, 물속에 포함된 무기성 질소 및 유기성 질소의 질소량의 총량
총인 (T-P) 2 이하 (Total Phosphorus)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의 지표중의 하나로서,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
부유물질 (SS) 10 이하 (Suspended Solid) 하천 등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더럽히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부유물질량
수소이온농도 (pH) 5.8~8.5 물의 산성, 알칼리성 판단기준
  • 방류수질은 사업장마다 적용기준이 상이함
  • 아래 자료는 수질연속측정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수질자료이며, 점검 및 고장시에는 측정값이 변하거나 "교정중"이라는 문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수처리시설 현황

1. 수질TMS 정보 [0000년00월00일00시]

수질 TMS정보에 대한 구분, COD(mg/L), T-N(mg/L), T-P(mg/L), SS(mg/L), pH 안내표
구분 COD(mg/L) T-N(mg/L) T-P(mg/L) SS(mg/L) pH

* 자료출처 : K-water

2. [아산] 수질TMS 정보 추세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