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구행동연구소 (PAI :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2003) |
오늘날 5억 5천만명이 물 압박국가나 물 기근국가에 살고 있고 2025년까지 24억명에서 34억명의 사람들이 물 압박 또는 물 부족국가에 살게 될 것임 |
---|---|
미국 NIC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 미 CIA 산하기구) |
2015년에는 세계인구의 절반이 넘는 30억명 이상이 물 부족국으로 분류 되는나라에 살게 될 것임 |
세계기상기구(WMO) | 2025년 6억 5천 3백만명 내지 9억 4백만명이, 2050년에는 24억 3천만명이 물 부족을 겪을 것임 |
앤더슨 국제식량기구연구소 소장 | 앞으로 25년 이내에 5개국 중 한 나라가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임 |
산드라 포스텔 (Sandra Postel) World Watch Institute |
향후 30년에 걸쳐 지구상의 인구는 약 24억명이 더 늘어날 것임. 그런데 식량생산에 필요한 물의 40%만 강에서 가져온다 해도 농업용수가 매년 1천 750㎦씩 증가해야 하며, 이 양은 대략 20개의 나일강 또는 97개의 콜로라도강의 규모와 맞먹음 |
국제원자력연구소 (IAEA, 2002. 3) |
현 추세로라면 2025년 약 27억명이 담수부족에 직면. 현재 약 11억명이 안전한 식수원에 접근하지 못하고, 25억명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놓여 있으며, 500만명 이상이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 비위생적인 물로 인한 사망자는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의 10배에 달함 |
UN 요하네스버그 정상회담 (2002) |
2050년 세계인구는 90억명에 이를 전망. 11억명이 안전한 마실 물 부족에 직면 할 것이며, 개발도상국 질병 원인의 10%는 안전한 식수 부족 또는 물 부족에 기인함 |
UN 세계 수자원개발 보고서 (2003. 3) |
지구의 1인당 담수공급량은 앞으로 20년 안에 1/3으로 줄어들고 2050년까지 적게는 48개국 20억명, 많게는 60개국 70억명이 물부족 겪을 것임. 2050년까지 인구는 93억명으로 늘고, 오염된 담수원 면적은 현재 관개용 수자원 면적의 9배에 달할 것 |
캐나다 회의(캐나다 시민단체) 마우드 발로(2004. 12) |
산유국이 카르텔을 형성, 석유자원을 무기화 했듯이 머지 않아 물이 풍부한 국가들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전망 |
세계경제포럼 수자원 이니셔티브 보고서 (2009. 1) |
‘수자원 부도(water bankruptcy)’ 가능성 경고. “이제는 1970년대 석유파동(oil shock)이 아니라 물파동(water shock)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 |
2030 Water Resources Group Charting Our Water future(2009) |
수자원시설 미확충 시 2030년에는 물 수요의 60%만 충족가능을 경고 |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50(2012) |
전 세계 인구의 40%가 심한 물부족을 겪으며 강 유역에서 생활할 것으로 예측함. 전세계 물 수요는 생산 수요(+400%), 열병합발전(+140%), 가정용(+130%) 수요 증가로 전체 55% 증가 예상. 도시폐수와 농업에서 나오는 영양염류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부영양화 심화 및 수생태계 다양성 파괴 |
* 출처 : K-water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