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는 실시간 관측된 자료이며 측정소 현지 사정이나 데이터의 수신상태에 따라 미수신될 수 있습니다
확인
출처 : 한국환경공단
기준일 : 2019월 09월 24일
자가용 승용차 천 대/연 절감효과 나무식재효과 천 그루/연
출처 : 자가용승용차 연평균 CO2배출량(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30년산 소나무 1그루는 연간 6.6kgCO2 흡수(국립산림과학원)
※ 문의사항은 수자원운영처(042-629-3533)로 연락바랍니다.
가뭄기간 [drought season] 편집
요약 편집
상세설명 편집
가뭄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는 학문분야 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떤 지역의 강우량이 연평균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작물 성장이나 수자원 이용이 제한을 받게 되는 기간이다.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가뭄기간의 시작점은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증발 등으로 인한 손실로 토양 내부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식물의 발산량이 제한을 받기 시작하는 때로 볼 수 있으며, 가뭄기간의 종료 시점은 충분한 비가 내려 식물의 성장에 대한 제한이 사라지는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식물의 증발산량의 증감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어떤 연도의 특정 기간을 가뭄기간으로 정의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대부분 한해 전체를 가뭄기간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6년 베트남 정부는 UN은 베트남 남 중부 지방과 메콩 델타 지방에서 발생한 극심한 가뭄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위해 미화 4850만 달라가 필요하도고 했다. 이 가뭄으로 인해 해침이 발생하면서 200만명 가량이 생활용수를 구하기가 어려워졌으며 110만명 가량이 식량이 부족한 실정으로 많은 여성과 아이들의 영양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련정보 편집
추가이미지
Last updated 2016-11-21
목록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