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는 실시간 관측된 자료이며 측정소 현지 사정이나 데이터의 수신상태에 따라 미수신될 수 있습니다
확인
출처 : 한국환경공단
기준일 : 2019월 09월 24일
자가용 승용차 천 대/연 절감효과 나무식재효과 천 그루/연
출처 : 자가용승용차 연평균 CO2배출량(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30년산 소나무 1그루는 연간 6.6kgCO2 흡수(국립산림과학원)
※ 문의사항은 수자원운영처(042-629-3534)로 연락바랍니다.
간극유체 [間隙流體, pore fluid] 편집
요약 편집
상세설명 편집
지하 환경에서 고화되지 않은 고형 퇴적물 입자 사이의 공극을 채우고 있는 유체는 물과 공기로, 이들의 상대적 비율은 특정 지역에서 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가까운 토양 상부에는 공극이 물과 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이러한 지대를 비포화대 (unsaturated zone)라 부르며, 비포화대의 하부에는 공극이 물로 채워져있는 포화대 (saturated zone)가 나타난다.
토양에 존재하는 물은 이를 이동시키는 힘의 종류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중력에 의해 쉽게 흘러내리는 중력수(gravitational water), 토양입자 사이의 모세관효과에 의해 일시적으로 붙잡혀있는 모세관수(capillary water), 토양입자들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흡수수(absorption water) 그리고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물인 결합수(bound water)가 있다.
관련정보 편집
추가이미지
Last updated 2016-11-07
목록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